건강

천식이란

니나노3d 2016. 11. 16. 00:51

오늘은 천식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천식은 나이드신분들이 주로 많이 가지고 있는 병이라 말씀 드리고 싶네요. 자 그런 이제 시작해 볼까요.

천식의 정의

-기관지 천식은 반복적인 기류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천명, 가슴 답답함 및 기침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이러한 증상은 자연적으로 또는치료에 의해 호전된다. 그러므로 천식은 다양한 증상과 기류장애를 일으키는 만성적인 기도질환이다. 평상시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중증 악화시에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과거에는 가역적인 기류장애, 기도 과민증등 폐기능 소견을 중심으로 천식을 정의하였으나. 근래에는 기도염증의 주용성이 강조되면서 다음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천식은 여러 세포와 다양한 매체들이 관여하는 기도의 만성 알레르기성 염증성 질환이다. 기도의 염증은 기도과민증의 원인이 되고, 반복적인 천명,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다양한 정도의 광범위한 기류장애를 수반하는 급성 증상은 자연적으로 .혹은 적절한 치료에 의해 회복된다.

천식의 병리

-천식의 병리에 대한 과거의 정보는 대부분 사망한 천식 환자의 부검소견에서 얻어진 것이다. 폐는 심하게 과팽창되어 있고, 크로 작은 기도는 점액과 혈청 단백질, 염증세포, 세포파편 등으로 구성된 점액전으로 채워져 있다. 현미경상 기도내강과 기도벽에서 호산구 및 림프구 침윤, 혈관 부종, 상피세포 탈락 등을 관찰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기도 손상으로 인한 기관지 평활근 비후와 혈관신생, 상피 배세포 증식, 상피하 간질교원질 침착 등을 볼 수 있으며, 이는 기도의 개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적경 2mm 미만의 말단 소기도와 폐실질에 이르기까지 기도 전반에 결쳐 불규칙으로 분포되어 있는 이러한 급성 및 만성 염증반응을 고려할 때, 소기도까지 적절히 투여될 수 있는 치료용 흡입제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천식환자의 생체 병리 연구는 기관지내시경의 도입으로 가능하게 되었으며, 부검 소견과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중증 천식 환자의 경우 호산구와 림프구뿐만 아니라 중성구의 증가가 관찰되는데, 이는 천식으로 인해 갑자기 사망한 환자들의 폐에 중성구가 증가햬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기관지천식에서 기도의 병리학적 변화와 임상 지표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기는 어렵다. 특히 기도염증의 정도를 평가하는 비침습적 측정법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임상의들은 객담내 호산구나 호기중 산화질소와 같은 간접적인 지표들에 의지하여 기도 염증의 정도를 평가하기도 한다.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하여 얻은 기도조직과 페포조직세척액을 관찰한 결과, 천식 환자의 기도 업증반응에는 비반세포와 호산구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이들 세초는 각종화학매체들을 분비하여 직접적으로, 혹은 신경계 기전을 통한 간잡적으로 기도 엽증에 작용함이 밝혀졌다.

천식은 흔히 아토피와 연관이 있다. 아토피는 생활환경에 흔히 존재하는 집면지 진드기, 동물 털, 꽃가루,곰팡이 등의 알레르겐에 대한 leg항체의 생산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아토피는 천체 인구의 30~40 에서 나타나며 무증상인 겨우도 많지만, 천식은 물론 아레르기 비염, 결막염, 아토피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등의 발생에 관여하는 강력한 위험인자이다.

천식은 대부분 6세 이전에 시작되지만 알레릇겐 짐작은 자궁 내에서부터 일어난다는 보고도 있다.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으로부터 천식으로의 진행은 영유아 시기의 간접흡연, 바이러스 호흡기 감염, 식이, 항생제 사용, 집먼지진드기 감작 등 여러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잘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천식을 어떤이들은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위에 언급한 글처럼 천식은 사망의 원인이 될수도 있다는걸 잊지 마세요.그럼 이만 오늘의 글을 이만 마치기로 하고 다음 주제 또한 질병의 내용으로 찾아 뵐께요.